(간호/성인간호) 기흉의 종류와 간호: 폐쇄성 기흉, 개방성 기흉, 긴장성 기흉에 대하여

기흉 정의: 흉막압 상승으로 이어지는 기흉 병태생리: 흉막강으로 공기 유입 > 흉막압 상승 > 폐 허탈 기흉의 종류 폐쇄성 기흉 개방성 기흉 긴장성 기흉 1) 폐 감염 2) 비천공 투과성 외상 3) 폐포 파열 4) 키가 크고 마른 남자 5) 흡연 임상증상 무증상(폐용적이 30% 미만일 때 흡수가 느림) 치료 및 관리 1) 단순 관찰 2) 산소 공급 3) 흉관 삽입 4) 빈번한 재발: 흉막유착, 경화요법, 미다졸람 5) 한도 스쿠버다이빙 및 고공비행 2. 개방성 기흉: 흉막강으로 공기 유입으로 인한 관통상 외상 > 폐허탈, 내과적 시술: 조직검사, 흉강천자, 정형외과용 바셀린 거즈로 상처를 감싸고 봉합 후 8~12시간 이내 깨끗이 봉합 압력 환기 외상. 2. 흉강천자 3. 항생제 투여 4. 수혈 5. 항파상풍 3. 긴장성 기흉**** 과급성 정의: 개방성 기흉 + 폐쇄성 기흉: 공기가 들숨 동안 흉강으로 들어가고 날숨 동안 빠져나가지 못합니다. 용적 증가 > 흉막내압 증가 > 종격동 기형 > 폐 압박, 환기 감소, 대정맥 압박 > 정맥 환류 감소 > 심박출량 감소 > 심한 순환 장애 원인 늑골 골절, 의원성: 양압 환기, 심폐소생술, 기관절개술 임상 증상 흉부 비대칭, 기관 외측 완전 치환술 : 호흡음 소실, 타진 고공명음, 경정맥 확장, 심한 흉통, 빈맥, 약한 심음, 충격치료 응급 흉강천자, 흉관삽입 > 폐쇄배액, 고농도산소, 항생제(감염예방)